대출 상환방식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체증식? 뭐가 나을까

2023. 6. 27. 12:12경제

728x90

대출 상환방식인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체증식에 대해서 비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원금균등 상환방식

원금균등 상환방식은 대출 받은 원금을 대출 기간 동안 균등하게 나눠서 매월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10년간 대출 받았다면, 매월 100만원씩 원금을 갚아야 합니다. 이때 이자는 매월 남은 원금에 대출 이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따라서 남은 원금이 줄어들수록 이자도 줄어들게 됩니다. 원금균등 상환방식의 장점은 총 상환액이 적고, 남은 원금이 빨리 줄어든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매월 상환액이 처음에 크고, 후반에 작아지기 때문에 부담이 크고, 예산 관리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 원리금균등 상환방식

원리금균등 상환방식은 대출 받은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을 대출 기간 동안 균등하게 나눠서 매월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10년간 연 5%의 이율로 대출 받았다면, 총 상환액은 약 1억 2천 7백만원이 되고, 이를 120개월로 나누면 매월 약 106만원씩 상환해야 합니다. 이때 원금과 이자의 비율은 매월 다르게 계산됩니다. 처음에는 이자가 많고 원금이 적게 상환되고, 후반에는 이자가 적고 원금이 많이 상환됩니다. 원리금균등 상환방식의 장점은 매월 상환액이 일정하고, 예산 관리가 쉽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총 상환액이 크고, 남은 원금이 늦게 줄어든다는 점입니다.

  • 체증식 상환방식

체증식 상환방식은 대출 받은 원금에 대해 매월 일정한 비율로 이자를 부과하고, 그 이자를 미상환된 원금에 가산하여 다시 이자를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10년간 연 5%의 이율로 대출 받았다면, 첫 달에는 5만원의 이자가 발생하고, 그 이자를 미상환된 원금인 1억 5만원에 가산하여 다시 이자를 부과합니다. 따라서 두 번째 달에는 5만 2천 5백원의 이자가 발생하고, 그 이자를 미상환된 원금인 1억 5만 2천 5백원에 가산하여 다시 이자를 부과합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미상환된 원금과 이자가 증가하게 됩니다. 체증식 상환방식의 장점은 초기에 부담스러운 금액을 갚지 않아도 되고,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총 상환액이 매우 크고, 남은 원금과 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728x90